본문 바로가기
SAFe&Agile Practice

애자일을 위한 작업 공간? #4 - 시각화 공간

by Humble Agile Coach - 채드(유종현) 2022. 10. 21.

가시화 작업

 

 애자일을 지탱하는 주요 가치 중에 "투명성"이라는 키워드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 투명성은 제품과 프로세스 개선의 시작점이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투명성은 공짜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며 노력을 필요로하죠. 이러한 노력이 공간에서 표현되는 것이 바로 가시화 공간입니다.

 정보 방열판(Informative raidation)이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정보가 스스로 퍼져 나온다는 의미인데요.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자면 누군가 정보를 의도적으로 찾아보거나 의식적으로 노력하지 않아도 정보를 얻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서랍속, 클라우드 공간에 있는 정보가 저절로 뿜어져 나올리 없죠. 정보를 받아 들이는 사람에게는 정보 방열판이지만, 정보 제공자에게는 의도적인 활동입니다.

 

 정보 제공자는 의식적으로 가시화를 위한 활동을 하게 되며, 적당한 곳에서 적당한 방식으로 적당한 정보를 전달해야 하죠. 시각화 공간, 시각화 방식, 시각화 대상이 선택 되어집니다.

 

무엇을 시각화 할것인가? - 고객 시각화 하기

 

애자일 개발은 고객에게 집중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애자일을 지지하는 이유 중에 하나죠. 그리고 고객에게 집중하는 방식 중하나는 페르소나라는 가상의 고객을 만들고 이 페르소나에게 생명을 불어넣어 갑니다. 이 페르소나를 가시화하는 것은 팀이 누구를 위해 일하는지 그리고 실제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목적을 지속적으로 상기시켜 줍니다. 이런 이유로 애자일 팀의 공간에 페르소나를 가시화하는 것을 심심치 않게 볼수 있습니다.

 

업무 흐름 시각화 하

 

무언가를 개선하기 위해서 먼저 해야 하는 일이 있습니다. 바로 그 무언가를 눈에 보이게 만드는 작업입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은 개선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무언가에 대해서 공통의 이해를 만들때 그림을 그리거나 도표를 사용하면 훨씬 쉽게 설명할 수 있었던 경험이 누구에게나 있을 겁니다. 업무 흐름도 마찬가지인데요. 업무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업무 흐름을 먼저 가시화 해야 합니다. 

 업무 흐름을 가시화하면 작업의 양, 병목 위치, 기대했던것과 다른 방향의 업무들이 드러납니다. 

 

스크럼 보드

 

여러 팀을 운영하는 조직이라면 하나의 스크럼 보드 뿐 아니라 여러 팀의 의존성을 가시화해주는 보드가 필요합니다. SAFe에서는 이러한 보드를 Program Board 라 부르며 Epic / Feature의 흐름을 보여줍니다. 프로그램 보드의 예시는 다음링크를 통해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https://www.scaledagileframework.com/pi-planning/)

 

시각화 장소

 

정보 방열판의 역할을 잘하기 위해서는 그를 위한 장소를 선택해야 합니다. 가장 좋은 장소는 사람들이 쉽게 장소를 접할수 있는 곳입니다. 어느 사무실이 구석이 아니라 왕래가 많은 사무실의 입구나 복도도 후보가 될수 있습니다.

 

출처 : dkrimmer.de

이 보드는 사무실입구의 복도편에 있어서 사무실을 방문하는 그리고 지나가는 사람에게 훌륭한 정보 방열판이 됩니다.

 

여기까지 정보 가시화를 위한 공간 사용에 대해서 간략히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좋은 애자일 공간은 좋은 애자일 팀을 만드는 바탕이기도 하고 좋은 애자일 팀을 보여주는 기준이 되기도 하죠.

 

공간 활용을 통해서  팀간 협업을 촉진하고 지속적인 업무 흐름 개선을 통해 더욱 더 좋은 애자일팀이 되시길 응원합니다.

 

https://agileworld.tistory.com/11 - 애자일을 위한 작업 공간? #1.  
https://agileworld.tistory.com/12 - 애자일을 위한 작업 공간? #2 - 애자일팀 작업 공간
https://agileworld.tistory.com/13 - 애자일을 위한 작업 공간? #3 - 애자일팀 간 협업을 위한 공간
https://agileworld.tistory.com/14 - 애자일을 위한 작업 공간? #4 - 시각화 공간

댓글